
인스턴스 생성
- 인스턴스 시작 -> AMI 선택 -> 인스턴스 유형 선택 -> 인스턴스 검토
- 키 페어 생성 -> 인스턴스 시작 및 초기화 대기
- 스토리지 설정 → 30GB까지 무료이니 30으로 설정
- 인스턴스 접속
- 기존 인스턴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시작
- Amazon EC2 콘솔은 기존 인스턴스를 기반으로 시작 옵션을 통해, 인스턴스의 일부 구성 세부 정보를 복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 복제 구성 요소
- AMI ID
- 인스턴스 유형
- 퍼블릭 IPv4 주소, 인스턴스가 위치한 가용 영역 또는 VPC, 서브넷
- 복사되지 않는 것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수, Storage
- 사용 방법
- 인스턴스 선택 -> 작업 -> 이미지 및 템플릿 -> 인스턴스에서 템플릿 생성 / 이미지 생성
인스턴스 삭제(종료)
-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인스턴스는 삭제할 수 있다.
- 인스턴스 상태가 shutting-down 또는 terminated로 변경되면, 요금 부과가 중단된다.
- 인스턴스 종료 후에는 인스턴스에 다시 연결하거나 재시작할 수 없다. 하지만 동일한 AMI를 사용하여 추가 인스턴스를 실행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Amazon EBS 루트 디바이스 볼륨은 인스턴스 종료 시 자동으로 삭제된다.
- 인스턴스 종료는 롤백이 불가능하다.
- 콘솔에서는 EC2 인스턴스 종료 명령 후 몇시간 후에 목록에서 사라진다.

탄력적 IP 설정
운영 중 Scale Up을 할 떄에는 탄력적 IP를 이용하여 고정 IP를 부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탄력적 IP(Elastic IP)
- 동적 클라우딩 컴퓨팅을 위해 고안된 고정 퍼블릭 IPv 주소
- 모든 인스턴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 주소 연결 가능
- 요금
실행중인 인스턴스에 연결된 IP 주소 한 개는 무료로 사용 가능
실행중인 인스턴스와 연결된 추가 IP 주소에 대해 시간당 0.005 USD
실행 중인 인스턴스와 연결되지 않은 각 탄력적 IP 주소에 대해 시간당 0.005 USD
- 사용 방법
- 탄력적 IP -> 탄력적 IP 주소 할당
- Amazon의 IPv4 주소 풀 클릭 -> 할당
- 탄력적 IP 주소 연결 -> 연결하고자 하는 인스턴스 연결 -> 프라이빗 IP 선택 후 연결
- 탄력적 IP와 퍼블릭 IP 매칭 확인
스케일 업, 스케일 다운
- 스케일 업
- 성능이나 용량 증강을 목적으로 하나의 서버에 디스크를 추가하거나 CPU나 메모리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
- 기존의 하드웨어를 보다 높은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을 말한다.
- 장점
- 추가적인 네트워크 연결 없이 용량을 증강할 수 있다.
- 비교적 업그레이드가 쉽고, 필요 장비와 전력 소모도 어느정도 아낄 수 있다.
- 데이터 정합성 이슈에서 자유롭다.
- 단점
- 하드웨어 허용 범위 내에서만 확장이 가능하므로, 업그레이드의 한계가 있다.
- 스케일 업의 일정 수준이 넘어가면 성능의 증가 폭이 미미해진다.
- 서버 한 대에 모든 부하가 집중되므로 장애 시 서버 복구 때까지 서비스를 중단해야 한다.
- 스케일 아웃
- 기존의 서버와 같은 사양 또는 비슷한 사양의 서버 대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 로드밸런싱(각 서버에 걸리는 부하를 균등하게 해주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한다.
- 장점
- 서버 한 대가 장애로 다운되더라도, 다른 서버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 용량, 성능 확장에 한계가 없다.
- 병목현상을 줄일 수 있다.
- 단점
- 데이터 정합성 이슈가 생길 수 있다.
- 설계 및 관리가 복잡하다.
- AWS 백업 방식
- AWS의 백업 방식에는 AMI 이미지 생성 방식과, EBS 스냅샷 생성 방식이 있다.
- AMI 이미지 생성 방식
- 컴퓨터 하나를 통째로 백업하는 개념, 운영체제와 하드디스크에 있는 모든 내용을 백업
- EBS 스냅샷 생성방식
- 하드디스크 하나만를 백업하는 방식, 내가 지정한 EBS만 백업하는 방식

AWS 이미지 생성(AMI)
- 하나의 서버에 다양한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있는 형태 그대로를 이미지(AMI)로 만들 수 있다.
- 서버에 문제가 생겼을 때 현재의 서버를 내리고, 이미지로 만들어 놓은 것을 그대로 AWS EC2 인스턴스로 만들 수 있다.
- AMI(Amazone Machine Image)에서 이미지 생성
- AMI의 기본으로 사용할 인스턴스를 선택해 이미지 생성
- 이미지 생성 대화 상자에 이름, 설명 등의 정보를 입력 후 이미지 생성을 선택
- 몇분 후, AMI가 생성됨. 생성된 인스턴스로 접속을 하고 싶으면, 기존 Elstics IP를 새로 생성한 IP로 재설정해줌.
- AMI(Amazone Machine Image)에서 이미지 복원
- AMI로 탭으로 들어와서, 생성한 AMI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시작하기를 눌러준다
- 인스턴스 시작 후, 검토 및 시작 버튼을 눌러 인스턴스를 시작해준다. 키 페어에서는 기존에 발급받았던 키 페어를 사용하면 인스턴스 생성이 완료된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