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Go - Chapter 2. 기본 데이터 타입과 연산

choko's avatar
Jun 29, 2024
Learning Go - Chapter 2. 기본 데이터 타입과 연산
 
 

리터럴

  • 소스 코드에서 고정된 값을 나타내는 표기법
    • 정수 리터럴(12)
    • 부동소수점 리터럴(6.03e22)
    • 룬 리터럴(’\u0061)
      • 문자를 나타내며, 작은따옴표로 묶어 사용한다.
      • UTF8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유니코드(이모지 등)를 다룰 때 사용된다.
      • ex - \u0041
    • 문자 리터럴(”hello”) 등
      • 원시 문자열 리터럴
        • Back Quote(` `)로 둘러싸인 string.
        • '\n' 등을 NewLine으로 해석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표기한다
        • s := 'This is Sparta!!!\n' This is Sparta!!!
      • 해석된 문자열 리터럴
        • 큰 따옴표(” “)로 둘러쌓인 string
        • 복수라인으로 선언할 수 없음, 연산자들을 제대로 반영함
        • s := "This\nis\nSparta!!!" This is Sparta!!!
 
 

타입의 별칭

  • byte 타입
    • Go에서 byte 타입은 uint8의 별칭이다.
  • int 타입
    • 32비트 CPU는 int32, 64비트 CPU는 int64이다.
  • rune 타입
    • int32 타입의 별칭이다.
 
Share article

Tom의 TIL 정리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