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HTTP/HTTPS

choko's avatar
Jun 29, 2024
Network - HTTP/HTTPS

HTTP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 HTTP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IP 위에서 작동한다
  • 하지만 HTTP는 암호화가 되지 않는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제 3자가 정보를 조회할 수 있었다.
  • HTTP 의 문제점
    • HTTP 는 평문 통신이기 때문에 도청이 가능하다.
    • 통신 상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위장이 가능하다.
    • 완전성을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변조가 가능하다.
    • (위 세 가지는 다른 암호화하지 않은 프로토콜에도 공통되는 문제점들이다.)
 
💡
TCP/IP 는 도청 가능한 네트워크이다.
 
TCP/IP 구조의 통신은 전부 통신 경로 상에서 엿볼 수 있다. 패킷을 수집하는 것만으로 도청할 수 있다. 평문으로 통신을 할 경우 메시지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암호화하여 통신해야 한다.
보완 방법
  1. 통신 자체를 암호화 SSL(Secure Socket Layer) or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는 다른 프로토콜을 조합함으로써 HTTP 의 통신 내용을 암호화할 수 있다. SSL 을 조합한 HTTP 를 HTTPS(HTTP Secure) or HTTP over SSL이라고 부른다.
  1. 콘텐츠를 암호화 말 그대로 HTTP 를 사용해서 운반하는 내용인, HTTP 메시지에 포함되는 콘텐츠만 암호화하는 것이다. 암호화해서 전송하면 받은 측에서는 그 암호를 해독하여 출력하는 처리가 필요하다.
 

HTTPS

  •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이다.
  • 대칭키 암호화 방식과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을 모두 사용한다.
    • 대칭키 암호화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동일한 키를 사용해 암호화/복호화를 진행함
      • 키가 노출되면 위험하지만, 연산 속도가 빠름
    • 비대칭키 암호화
      • 1개의 쌍으로 구성된 공개키와 개인키를 암호화/복호화 하는데 사용
      • 키가 노출되어도 비교적 안전하지만, 연산 속도가 느림
  • HTTP의 통신하는 소켓 부분을, SSL/TLS 프로토콜로 대치하여 HTTPS → SSL/TLS → TCP 순으로 통신이 일어나게 된다.
  • HTTPS는 HTTP보다 추가 리소스를 소비하지만, 하드웨어의 발달로 인해 속도 저하가 거의 일어나지 않으니, 모든 웹 페이지에 HTTPS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 HTTPS 연결 과정의 절차
      1.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최초 연결 시도를 함(3way Handshake)
      1. 서버는 공개키(인증서)를 브라우저에게 넘겨줌
      1. 브라우저는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대칭키를 발급
      1. 브라우저는 대칭키를 보관하며 추가로 서버의 공개키로 대칭키를 암호화하여 서버로 전송
      1. 서버는 암호화된 대칭키를 개인키로 복화하하여 대칭키를 얻음
      1.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동일한 대칭키를 공유하므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대칭키로 암호화/복호화를 진행함
      → 참고로, 인증에 쓰이는 서버의 공개키는, 신뢰할 수 있는 인증 기관(CA)에 공개키를 전송하여 인증서를 발급받는다.
notion image
Share article

Tom의 TIL 정리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