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7계층을 분리한다.

-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공간
- 0과 1의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 전선에 흘려보내고(encoding), 아날로그 신호가 들어오면 0과 1의 나열로 해석하여(decoding) 0과 1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 진행한다.
- 리피터, 케이블, 허브 등
-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음
- 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 계층으로 송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여,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도와준다.
- 디지털화된 데이터들에 대해 비트 단위로 신호화/동기화등을 진행하여, 최대한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한다.
-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여러 대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필요한 모듈
- MAC 주소
- 하드웨어(랜카드)적으로 구현되어 있음
-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 라우터를 통해 이동할 경로를 선택하여 IP 주소를 지정하고, 패킷을 전달해준다.
- 라우터, IP
- 운영체제 커널에 구현되어 있음
- 전송 계층
- TCP와 UDP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을 활성화한다.
-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최종 목적지인 프로세스까지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공해준다.
- TCP, UDP
- 운영체제 커널에 구현되어 있음
- 세션 계층
-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 연결을 담당한다.
- 세션 설정, 유지, 종료, 전송 중단시 복구 등
-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책임을 지고 있다.
- API, Socket
TCP/IP란?
전송 계층에서 제공하는 API를 활용해 통신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TCP/IP 소켓 프로그래밍, 또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이라고 부른다.
TCP/IP는 OSI 모델에 기반한 전체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TCP는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이고, TCP/IP는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다양한 프로토콜들의 집합체 중 하나이다. → TCP는 TCP/IP 스택의 일부로 사용된다.
- 표현 계층
- 데이터 표현에 대한 독립성을 제공하고, 암호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파일 인코딩, 명령어를 포장, 압축, 암호화한다.
- JPEG, MPEG
- 응용 계층
- 최종 목적지로,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게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자우편, db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HTTP, FTP, DNS
현대에는 OSI 7계층이 아닌 TCP/IP 모델을 더 많이 사용하는데, 이 모델의 경우 5~7계층이 합쳐져서 응용 계층 하나로 부른다고 한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