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프로토콜 모두 OSI의 4번째 계층인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 쓰이는 통신 규약이다.
- TCP
- 신뢰성 보장, 연결 지향적 특징, 흐름 제어, 혼잡 제어
- UDP
- 비신뢰성, 비연결성, 순서화되지 않은 데이터그램

Transport Layer
- OSI 7계층 중 하나인 전송 계층은, End to End의 사용자들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 주어,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준다.
- 전송 프로토콜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 TCP와 UDP이다.
- Transport Layer :
Application 프로세스
들 간의논리적인 통신
을 제공 - Network Layer :
host
간의논리적인 통신
을 제공 - 데이터의 전달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
TCP
-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 애플리케이션에게 신뢰적이고 연결지향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일반적으로 TCP와 IP는 함께 사용되며, IP는 배달을, TCP는 패킷의 추적 및 관리를 하게 된다.
- 신뢰적인 전송 보장을 위한 handshake 수행
- 데이터 흐름제어, 혼잡제어 등을 수행
- 흐름제어
-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 혼잡제어
- 송신측의 데이터 전달과 네트워크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 이로 인해 신뢰성은 높지만 속도는 느리다.
UDP
-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한다.
- 정보를 주고 받을때, handshake같은 신호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 신뢰성이 낮지만, TCP보다 속도가 빠르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