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 노드 내장 모듈

choko's avatar
Jun 29, 2024
NodeJs - 노드 내장 모듈
노드 내장 모듈을 사용하려면 require을 통해 모듈을 불러와야 한다.
ex) const os = require(’os’);
 

os

노드는 os 모듈에 정보가 담겨 있어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os.arch(), os.platform(), os.type(), os.uptime(), os.hostname(), os.homedir()...
 

path

폴더와 파일의 경로를 쉽게 조작하도록 도와주는 모듈
path.sep : 경로의 구분자, 윈도우는 \, 유닉스는 /
path.delimeter : 환경 변수의 구분자, 윈도우는 ;, 유닉스는 $
path.dirname(경로) : 파일이 위치한 폴더 경로를 보여줌
path.extname(경로) : 파일 확장자를 보여줌
path.join([...paths]) : 플랫폼별 구분자를 사용하여 경로를 정규화해서 리턴해줌
ex) path/join(”/this”,”is”,”a”,”path”,”join) → /this/is/a/path/join

url

인터넷 주소를 쉽게 조작하도록 도와주는 모듈
url.parse(주소) : 주소를 분해한다.
url.format(객체) : 분해되었던 url 객체를 원래 상태로 조립한다.
url.searchParams : https://www.youtube.com/watch?v=5qap5aO4i9A에서 ?v=5qap5aO4i9A 부분이 search이다.
url.searchParams.getAll(키) : 키에 해당하는 모든 값들을 가져온다.
url.searchParams.get(키) : 키에 해당하는 첫 번째 값만 가져온다.
url.searchParams.has(키) : 해당 키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사한다.
url.searchParams.value() : searchParams의 모든 값을 iterator로 가져온다.
url.searchParams. 1.append(키,값) 2.set(키,값) 3.delete(키)
url.searchParams.toString() : 조작한 searchParams 객체를 다시 문자열로 만든다.
 

querystring

기존 노드의 url 사용 시 search부분을 사용자가 쉽게 객체로 만드는 모듈
querystring.parse(쿼리) : url의 query부분을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분해한다.
querystring,stringify(객체) : 분해된 query 객체를 문자열로 다시 조립한다.
 

crypto

다양한 방식의 암호화를 도와주는 모듈
  1. 단방향 암호화 → 복호화 할 수 없는 암호화 방식
    1. createHash(알고리즘) : 사용할 해시 알고리즘을 넣는다. 알고리즘에는 md5, sh1, sha256, sh512 등이 있다.
      update(문자열) : 변환할 문자열을 넣는다.
      digest(인코딩) : 인코딩할 알고리즘을 넣는다. base64, hex, latin1이 주로 사용되는데, base64가 에용된다. 문자열로 변환되어 반환한다.
  1. 양방향 암호화 → 키로 원래 문자열 복호화 가능
    1. crypto.createCipheriv(알고리즘, 키, iv)
      cipher.update(문자열, 인코딩, 출력 인코딩)
      cipher.fianl(출력 인코딩) ... 등이 있다.
 

util

각종 편의 기능을 모아둔 모듈
util.deprecate : 함수가 deprecated 처리되었음을 알린다.
*deprecated란 중요도가 떨어져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사라지게 될 것이라는 의미한다.
util.promisify : 콜백 패턴을 promise 패턴으로 바꾼다.
 

work_threads

멀티 스레드로 작업할 때 사용하는 모듈
 

child_process

노드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싶거나 명령어를 수행하고 싶을때 사용하는 모듈
Share article

Tom의 TIL 정리방